-
04 카메라의 움직임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2023. 8. 11. 17:23
04 카메라의 움직임
카메라가 움직이는 것에는 동기, 이유가 필요하다.
첫번째, 행동 자체가( 인물의 이동 ) 움직임을 유도하는 경우 ex) 인물이 의자에서 일어나 창문 쪽으로 걸어갈 때
두번째, 달리 이동이나 팬의 시작과 끝에 동기가 있는 경우.
카메라의 이동이 끝났을 때에는 의미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 새로운 정보가 반드시 드러나야 한다. 카메라의 이동은 음악의 리듬 개념과 매우 비슷하다. 카메라의 움직임을 유도하고 리듬을 맞추는 것은 보이지 않게 이루어져야 한다.
카메라 움직임의 기본 형태
움직임의 종류
팬Pan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의 몸체만 좌 / 우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팬은 부드러운 카메라 헤드의 움직임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쉽지만,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팬pan 하면 눈에 매우 거슬리는 스트로브 Strobe현상이 화면에 나타난다. 각도 180 셔터에 프레임 레이트 24-25 fps 설정으로 프로임 한쪽 끝에서 반대쪽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 5초 이상 되어야 한다. 프레임 레이트를 높일수록 패닝의 속도는 낮춰야 한다.
틸트 업 / 틸트 다운 Tilt up Tilt down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몸체만 위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인생의 대부분 시간을 수평 공간에서 지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종류의 영상에서 대부분의 행동은 수평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이유로 수직 방향의 틸트보다는 수평 방향의 팬이 일반적으로 더 자주 사용된다.
달리 인 / 아웃 Dolly in / out
피사체나 행동의 방향으로 카메라가 다가가거나 멀어지는 움직임을 말한다.
밀고 들어가기‘Dolly in / Push in’와 뒤로 빼기‘Dolly out / Pull out’이 있다.
일반적으로 달리를 이용해서 어느 장면으로 들어가거나 빠져나오는 것은 그 장면에 대한 와이드숏과 타이트숏을 결합시키는 효과를 만든다. 즉, 와이드숏과 클로즈업을 단순한 컷 편집으로 연결하는 것보다 달리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극적인 방법으로 관객에게 내용을 전달해 준다. 관객에게 '당신은 이 거리에 있는 모든 것을 유심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라는 뜻을 의미한다. 이것은 단순히 넓은 화면으로 보여 주는 설정 숏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관객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실용적인 목적 : 카메라가 뒤로 약간 물러나면서 좀 더 넓은 화면 공간이 설정된다. 프레임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거나 갑작스러운 움직임의 변화를 카메라가 따라갈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인물이 퇴장할 때 불필요한 여백을 줄여 준다.
줌 Zoom
초점거리를 광학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카메라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점을 가까이 또는 멀리 이동시킨다. 카메라의 이동과 마찬가지로 줌을 사용할 때도 그에 대한 동기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또한 줌을 사용할 때는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줌을 달리나 배우의 움직임과 함께 사용하면 줌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줌과 달리숏의 차이
줌
단초점부터 장초점까지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단초점 :: 피사계 심도가 깊기 때문에 배경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장초점 :: 피사계 심도가 얇아져서 배경에는 초점이 거의 맞지 않는다.
→ 줌 기능을 사용하면 피사계 심도 특성이 함께 변하기 때문에 근경이나 배경의 초점에 영향을 미친다.
달리
달리는 줌이 표현할 수 없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 달리를 사용하면 카메라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프레임 안에서 피사체 위치가 변하지 않더라도 배경은 움직인다. 장면의 시작과 끝은 완전히 다른 배경이 된다.
치고 들어가기 push in = dolly in / punch in ( 줌렌즈 / 장초점 렌즈 )카메라 장착 도구
삼각대 ( 톨 / 베이비 / 하이햇 / 새들 )
레벨링 헤드 leveling head
카메라는 삼각대나 달레에 직접 장착할 수 없다. 달리, 크레인, 차량용 촬영 장비에는 중간 단계의 장치 레벨링 헤드가 필요하다. 카메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다. 레벨링 헤드 위에 카메라 헤드를 얹어서 장착한다.
유동식 헤드 oconnor 2575D 유동식 헤드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끔 오일, 내부 진동 흡수 장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움직임의 저항 정도까지 조절 가능하다. 움직임에 따라 팬 / 틸 무빙 속도를 조절하고 앞이나 뒤가 상대적으로 무거워 ( 과하게 틸트 했을 경우 ) 카메라가 넘어지지 않도록 반동 밸런스 조절 Counter Balance한다.
원격 조종식 헤드 Remote head
기어식 헤드에 모터를 장착해서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것이 원격 조종식 헤드이다. 촬영기사가 뷰파인더에 눈을 붙이고서는 촬영할 수 없는 장면, 예를 들어 360도 회전이나 / 180도 수직 회전과 같은 움직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치 헤드 Dutch head
일반적인 카메라 헤드는 수직 방향으로만 기울어질 수 있지만, 더치 헤드를 사용하면 카메라를 수평 방향으로도 기울일 수 있다. 정상적인 움직임과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빠르게 반복할 수 있게끔 특별히 고안된 헤드이다. 더치 앵글 Dutch Angle이란 카메라가 수평 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구도를 말한다.
하이햇 High - Hat
카메라 헤드를 장착하는 작은 고정식 도구를 말한다. 카메라를 지면 가까운 높이로 낮출 때 사용한다. 또한 사다리 꼭대기와 같이 매우 좁은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하이햇은 높이를 조절하거나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애플박스 및 다른 도구로 높낮이를 조절한다.
로커 플레이트 Rocker plate
하이햇보다 더 낮게 카메라를 설치할 때 사용한다.
- 카메라를 모래주머니 위에 올려놓는다. 그러나 불안정하다.
- 로커플레이트는 카메라를 틸업 / 다운 할 수 있는 단순한 장치이지만, 부드럽게 패닝할 수는 없다.
rocker plate 틸트 플레이트 Title Plate
카메라 헤드가 움직일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범위의 틸 업 / 다운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기어 방식이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로 카메라를 기울일 수 있지만, 촬영 중에 기어를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럽지는 않다.
베이스 플레이트 Base Plate
헤드와 카메라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시네마 카메라는 탑 핸들, 모니터, 무선 포커스 기어 등 부수적인 악세사리들이 많이 달리기 때문에 케이지 ( 치즈플레이트 ) 로 둘러쌓여 있다. 플레이트는 슬라이딩 베이스 / 브리지 플레이트 / 퀵 릴리즈 플레이트 / 15mm or 19mm 로드플레이트 등등 용도에 세분화되어 있다.
이동 숏
트래킹
인물이나 차량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카메라가 함께 움직이는 것
( 평행 트래킹 :: 움직이는 인물의 배경이 빠르게 지나가는 효과를 강조한다. )
** 피사체와 함께 움직이는 경우에만 트레킹숏이라고 한다.
반대 반향으로의 이동
카메라가 인물 / 피사체와 반대반향으로 움직이는 것
( 카메라가 피사체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때는 같은 반향으로 움직일 때보다 속도감이 2배로 증가한다. )
원형 이동
피사체 주위에 설치한 반원 도는 정원 형태의 궤도 구간을 달리로 촬영한 것. 90도 / 45도 곡선 궤도 달리 트랙이 필요하다.
핸드헬드 Hand Held
카메라를 어깨에 둘러메고 손으로 직접 촬영하는 방법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를 지면 가까이 낮게 들거나 무릎에 올리는 것과 같이 다른 방식을 결합해서 손으로 카메라를 직접 들고 촬영하는 방법을 말하기도 한다. 다큐멘터리식 접근법으로, 관객에게 ‘당신은 여기에 있다’ ‘이것은 진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라는 느낌을 강조한다.
크레인숏
달리보다 훨씬 큰 가동범위로 수평 / 수직의 움직임이 가능해 씬의 시작에 설정숏으로 높은 부감 위치에서 시작해서 지면으로 내려가면서 피사체를 자세하게 보여 주는 샷에서 주로 쓰인다.
- 카메라를 수직 방향으로 크게 움직일 수 있다.
-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 카메라를 크레인 중심 본체의 바닥 높이보다 더 아래로 내릴 수 있다. ( 삼각대나 달리를 전혀 쓸 수 없는 도랑과 같은 깊은 장소에서 매우 유용 하게 사용될 수 있다.
- gib 방식 / 크레인 상단 끝부분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아래에서 리모트 컨트롤로 조종하는 방식
- 촬영조수 / 촬영감독이 올라탈 수 있는 전형적인 형태의 촬영용 크레인
달리의 카메라 장착 축은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고, 무게 추 없이 유체역할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크레인은 카메라가 장착된 축을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무게 밸런스>
카메라 장착 축 - 회전 중심축 - 균형을 맞추기 위한 무게 추테크노 크레인 Techno Crane
카메라 장착 축의 길이를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다. 원격 조종식 헤드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수평 / 수직 회전이 가능하다.
테크노 크레인 렉카 ( 촬영용 트럭 )
자동차 신을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수 차량, 여러 대의 카메라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모션 컨트롤 카메라
매 테이크의 카메라 이동이 이전 테이크와 완벽하게 똑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고도로 정밀한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람이 손으로 카메라를 다룰 때는 매번 완전히 똑같은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하다. 로봇 방식의 모션 컨트롤 카메라, 카메라의 모든 기능과 움직임을 완벽하게 통제한다. ex) 로봇암
기타특수장비
스테디 캠 Steady Cam
평평하지 않은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카메라 오퍼레이팅을 가능하게 해준다. ( 계단, 경사면, 모래밭 )
등장인물이 공간을 이동할 때 관객이 배우와 함께 따라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만들어 준다. 스태디캠에서 카메라는 중심대 위에 장착되고 카메라모니터와 배터리는 아랫부분에 장착된ㄴ다. 그러나 스태디캠하단부에 모니터가 배터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어느 정도 높이 아래로는 내려갈 수 없다는 한 가지 단점이 있다. 이 경우에 전체 장비의 배치를 정반대로 바뀌서 카메라를 스태디캠 아래에 장착할 수 수도 있다.
로 모드 프리즘 Low mode prism
렌즈를 지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낮추고자 렌즈 앞에 장착하는 장비이다. 달리나 삼각대에서 카메라를 분리하더라도 카메라렌즈를 지면으로 완전히 낮추기는 힘들다. 렌즈 바로 앞에 이 장비를 부착하면 렌즈의 높이는 광학적으로 낮아지고 화면상에는 카메라가 진면에 완전히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때 렌즈에서 난반사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프리즘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어야 한다.
수중촬영용 하우징 Underwater Housing
수중촬영에서 완벽하게 방수가 되는 하우징을 사용한다. 이 장비는 특수하게 만들어진ㄴ 것으로, 카메라의 전원과 포커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들이 하우징 위부에 있다.
'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연속성과 가상선 (0) 2023.08.11 03 렌즈언어 (0) 2023.08.10 02 시각언어 (0) 2023.08.09 01 화면구성기법 (0) 202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