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화면구성기법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2023. 7. 14. 17:33
영화의 문법
Shot ( 샷 ) 이란 ? 무엇일까
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카메라가 Rec 되는 순간 부터 멈추는 순간까지를 말한다.
=감독이 Cut을 외치고 OK or NG 를 외칠때까지 촬영된 분량
한 샷은 녹화되는 시간에 따라 1초가 될 수도 10분이 될 수도 있다.
+
Scene ( 씬 )
동일한 장소 / 시간대로 설정된 shot이 모여 하나의 Scene이 된다.
Sequence ( 시퀀스 )
Scene들이 모여 특정 상황의 기승전결을 이루는 단위 ( 처음과 끝 )
문장 / 문단 / 단락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문장 : 생각, 감정, 움직임, 모양 등을 표현하는 최소 표현 단위이다.
문단 : 하나의 글에서, 내용이나 형식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나누어 끊은 단위이다. 한편의 글에는 여러개의 문단이 들어있다.
문단은 하나의 주제만을 표현하는 문장들을 묶은 것이다.
단락 : 한편의 글 속에서 하나의 작은 주제를 표현하는 작은 글이다.
주관적인 시점과 객관적인 시점
문학에서 시점에 따라 1인칭 2인칭 3인칭 세 가지 형식이 있는 것과 같이 영화에서도 시점이 존재한다.
1인칭 시점은 '나'의 입장으로만 이야기를 한다. 2인칭 시점의 화자는 '당신'으로 이야기 하고, 3인칭은 '그들'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3인칭 화자는 완전히 객관적이고, 반대로 1인칭 화자는 완전히 주관적이다. 2인칭 화자는 그 중간즈음에 있다.
시점 ( Point Of View )은 카메라와 인물 간의 물리적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두 명 이상의 인물이 있을 때, 카메라가 특정 인물에 더 가깝게 위치 할 수록 주관적이다.
-카메라의 앵글 ( 프레임 ) = 보는 사람의 시야 = 특정 인물의 시야
*객관적 시점
스토리의 상황을 외부에서 인식하는 것
*주관적 시점
등장인물을 통한 공감 위주의 시점이다.
관객의 입장에서 보면 객관적 시점은 외부에서 '보이는 시점' 인 것이고 주관적 시점은 등장인물과 '함께 보고 느끼는 시점' 인 것이다.
크기에 따른 샷 (shot) 의 종류
익스트림 롱 샷 ( Extreme long shot )
영화 '듄' 영화 '듄' 배경설명 / 공간설명을 위해 쓰이는 샷이다.
-장소의 전경을 보여주는 설정샷
-상황에 따라서 그 인물을 고립시킬 수 있음
와이드샷 ( Wide Shot or Long shot )
영화 '듄' 객관적인 정보의 지표로 인물보다는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공간을 강조한다.
풀 샷 ( Full shot )
영화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영화 '라라랜드' 영화 '라라랜드' 인물의 전신으로 인물의 표정보다는 동작이 중요한 샷이다.
니 샷 ( Knee shot )
영화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무릎부터 머리까지 담아내는 샷
( 하반신을 포함하기 때문에 역동적인 동작에 적절한 사이즈 )
웨이스트 샷 ( Waist shot )
영화 '라라랜드' 영화 '라라랜드' 허리까지 담아낸 샷
* 대화가 있는 Medium shot / 2shot / 3shot 에 자주 쓰인다.
바스트 샷 ( Bust shot )
가슴께까지 담아낸 샷
* 대화씬에서 한 인물의 주관적인 시점에서 주로 쓰이는 샷이다.
클로즈 업 / 타이트 샷 ( Close up / tight shot )
영화 '듄' 영화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가슴위쪽부터 머리까지 담아낸 샷
-인물의 감정이 가장 많이 느껴지는 샷
-인물의 표정이 가장 많이 보이는 샷
::줄임말 :: 편의상 콘티 및 서면에서는 줄임말을 쓴다.
E.L.S ( extreme long shot ) L.S ( long shot ) F.S ( full shot ) W.S ( waist shot ) K.S ( knee shot ) B.S ( Bust shot ) C.U ( close up shot )
현장에서는 조명세팅 및 카메라 세팅 / 배우연기의 몰입도 / 편의상을 이유로 대부분 넓은 샷부터 ( L.S / F.S / W.S ) 타이트한 샷 ( B.S / C.U ) 순으로 촬영이 진행된다. 하지만 여러가지 변수로 인해 촬영순서는 상황마다 달라진다.
A,B 2명의 대화씬 촬영순서를 예로 들어보자
1. A,B의 F.S
2. A의 B.S
3. A의 C.U
4. B의 B.S ( 뒤집어서 )
5. B의 C.U용도에 따른 샷의 종류
O.S over the shoulder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 영화 '위플래쉬' 인물의 어깨 / 신체의 일부분을 걸고 상대 배우 혹은 피사체를 찍는 샷
-두 피사체의 관계성 및 연계성을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대화씬에서 주로 사용한다
Insert
영화' 위플래쉬' 관객들이 꼭 알아야 하는 정보를 꼭 집어 줄 때 쓰이는 샷
- 정보를 위한 인서트 샷
- 강조를 위한 인서트 샷
- 분위기를 위한 인서트 샷
- 씬과 씬을 연결하는 인서트 샷 ( 컷 어웨이 )
반응샷
영화 '겟 아웃' 영화 '겟 아웃' 이전 샷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샷
설정샷
영화 '블레이드 러너' 영화 '블레이드 러너' -그 영화의 주제나 분위기를 하나의 샷으로 나타낸 것
-사건이 벌어지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익스트림 풀 샷 / 와이드 샷 )
마스터샷 ( 큰 그림 )
장면 전체(씬)를 하나의 샷shot으로 촬영하는 것 ( f.s / e.l.s )
( One Scene One Take 기법과는 다르다 )
똑같은 각도와 샷사이즈로 컷 없이 한 번에 촬영한다. ( 상황자체가 너무 긴 경우 구분을 지어 촬영하기도 한다 )
-편집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찍는 샷
-연속성의 오류를 고칠 수 있다.
( 컷이 튀었을 경우 마스터샷으로 대체, 컷이 튀는것을 막을 수 있다. )
- 컷이 튄다는 것은? 피사체의 위치나 동작이 앞 / 전 컷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버리지샷 ( 작은 그림 )
한 씬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종류의 세부장면 ( b.s / c.u / insert )
단순히 f.s 및 w.s 으로 씬의 처음과 끝을 다 찍었다고 해도,
편집단계에서 씬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또 다른 샷사이즈 및 시점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집점
영상편집에서 컷 ( cut ) 을 나누는 지점
** 인물이 움직이는 순간을 편집점으로 두면 자연스러운 편집이 가능하다.
(배우의 액팅이나 물건들의 위치가 안맞을 경우 컷이 튈 수가 있음)
전환
시간경과를 보여주는 편집점
ex)일출→일몰 / 푸른 나무들이 앙상한 가지만 남음
생략 컷
인서트 없이도 시간경과가 충분히 보이기 때문에 시간경과 인서트 없이 바로 보여주는 것
빈프레임(프레임 인 아웃)
빈프레임에서 시작해서 인물이 프레인 인으로 ( 혹은 아웃으로 ) 들어오게 ( 나가게 ) 하는 방법.
편집점을 맞추기 훨씬 쉬움 ( 앞뒤에 마가 있기 때문에 후반에서 편집의 호흡을 조절하기 훨씬 용이하다 / 동작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응답숏
주로 os나 클로즈업 샷을 응답숏이라고 한다.
히치콕 규칙
프레임 안에 있는 피사체의 크기는 그 순간 이야기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같아야한다.
중복촬영
편집에 딱 필요한 만큼 촬영하는것이 아니라 앞 뒤로 조금 더 길게 촬영하는것
-편집시 의도치 않은 점프컷을 피하고 모든 컷들의 동작들을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
몽타주
상징적인 몇가지를 촬영하여 유기적으로 연결한 것
ex) 자명종에 깨는 장면 3초, 세수하고 양치하는 장면 3초, 토스트기에서 빵이 나오는 장면 3초, 정장을 입고 가방을 드는 장면 3초, 현관문을 닫고 계단을 내려가는 장면 3초, 차에 타서 출발하는 장면 3초를 연결하여 편집함으로써 출근하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영화 '위플래쉬' 스틸컷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Dt5hFexM5BI
https://www.youtube.com/watch?v=62wj8WqSjdU
https://www.youtube.com/watch?v=am_aqh4qW5c
https://www.youtube.com/watch?v=4JElrZ1WB40
https://www.youtube.com/watch?v=DPWWw8Snie4
https://www.youtube.com/watch?v=zPxWDieuInM
https://www.youtube.com/watch?v=8_FgQDyYrv0
'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연속성과 가상선 (0) 2023.08.11 04 카메라의 움직임 (0) 2023.08.11 03 렌즈언어 (0) 2023.08.10 02 시각언어 (0) 2023.08.09